Q. 작년에 피아노 학원에 다니면서 새로 사귄 친구가 있어요. 그런데 이 친구는 모든
일에 부정적으로 말하고 다른 친구의 뒷담화를 자주해요. 저는 그 친구 말에 별로 공
감이 안 되어 호응을 안 해주면 삐치기도 하구요. 종종 그 말에 공감해주다가 저도 오
해를 산적이 여러번 있어요, 친구와 손절할까도 생각했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?!
(초6, 금쪽이 여)
A. 매사에 부정적인 사람은 부정적인 에너지가 나오기 때문에 함께 있는 사람의 기분
을 우울하고 힘들게 만듭니다. 금쪽이 또한 부정적인 친구 때문에 많이 힘들어하는 모
습이 질문에서 느껴지네요.
부정적인 사람의 일반적인 특징과 해결책에 대해 생각해봅시다.
첫 번째 부정적인 사람은 상대방이 자신과 같은 감정을 느끼길 원합니다. 그러다보니
상대방에게 자신의 감정을 계속 이야기하며 내 감정에 들어오도록 계속 하소연을 합니
다. 듣기 좋은 말도 한두번이지. 긍정적인 말도 아닌 부정적인 말을 계속 듣는 것은 여
간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.
두 번째 남 탓을 많이 합니다. 부정적인 사람과의 대화를 잘 살펴보면 모든 문제의 원
인은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. 그러다 보니 자신의 실수로
인해 벌어진 문제일지라도 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전가하여 자신을 변화하려고 하지 않
고 다른 사람을 변화시키려고 하죠. 그러다보니 갈등이 생길 수밖에 없겠죠!
세 번째 비관적이고 부정적인 단어를 많이 사용합니다. ‘이번 시험은 어려울 거야 그래
서 좋은 성적을 못 받는 것은 당연해’, ‘그 친구는 까칠해서 나와는 맞지 않을 거야’,
‘이번 시합에서 우리 팀이 이길 수 없을 거야’ 등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단어가 아닌 비
관적이고 부정적인 단어가 대화 속에서 많이 등장합니다.
네 번째 다른 사람에 대한 뒷담화 또는 안 좋은 소문을 계속 양산합니다. 다른 사람에
대한 시기, 질투, 이간질 등 나쁜 에너지가 나오는 행동들을 많이 합니다. 이러한 일이
반복되다보면 결국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큰 문제가 발생 할 수밖에 없습니다.
이러한 부정적인 사람과 관계를 맺고 있다면 금쪽이 자신의 감정에 충실할 필요가 있
습니다. 또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상대방에게 정확히 표현하는 것도 좋습니다. ‘부정
적인 말은 이제 그만하자. 내가 듣기 불편하네’ 등의 금쪽이의 생각과 감정을 명확하게
표현해주는 것이 좋습니다. 또한 부정적인 친구도 성격의 일부분으로 생각하여 그 친구
가 조금씩 긍정적인 말을 할 수 있도록 금쪽이가 도움을 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.
마지막으로 부정적인 친구를 개선시키기 위해 여러 방법을 사용해 봐도 개선의 여지가
없다면 그 친구와는 조금 거리를 두고 지내는 것도 좋습니다. 부정적인 에너지가 금쪽
이를 힘들게 한다면 조금 과감하게 친구와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보는 것도 좋습니다.
금쪽이 스스로를 지키는 것이 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합니다.
박형준 홍천군청소년수련관 관장